본문 바로가기

상담중기2

청소년심리상담 _ 자기 탐색적 질문 1. 자기 탐색적 질문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과 시각, 생각과 판단 등 내면의 모습을 끌어내어 표현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자극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문제가 구체화되지 않으며, 상담자가 내담자를 깊이 공감할 수 없고, 변화를 위한 치료적인 개입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치유는 지식이나 기술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 자신의 내면에 있습니다.  자기탐색적 질문이란 내담자의 구체적 경험 속에서 모호하게 처리되거나 생략된 사실을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개인의 내면을 잘 관찰하고 그 흐름을 확인하도록 요구하며 객관화하도록 하는 질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영은 상담자에 의해 내담자의 모습을 비춰주는 것인 반면 자기 탐색적 질문은 내담자로 하여금 스스로 자신을 관찰하고 객관화시키는 것입니다. 자.. 2025. 3. 5.
청소년심리상담 _ 상담 중기 저항 다루기 1. 상담 중기 과정  상담 중기에는 탐색과 수용의 기법을 활용하여 내담자의 저항을 다루고,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바람직한 행동으로 바꾸는 작업을 합니다. 증상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통하여 문제와 증상에 관련된 요인들을 검토하고 통찰합니다. 이 과정에서 내담자의 저항을 극복해 내고, 문제해결을 위해 대안을 형성하고 변화와 성장을 위해 실천하고 학습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상담 중기는 작업단계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내담자의 행동 변화가 상담장면과 일상생활에서 가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정교한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 상담사는 내담자가 바람직한 대안행동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청소년 상담은 제한된 기간으로 진행되므로, 한 개인의 행동 변화와 심리 적.. 2025.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