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체화작업2

청소년심리상담 _ 자기 탐색적 질문 1. 자기 탐색적 질문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과 시각, 생각과 판단 등 내면의 모습을 끌어내어 표현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자극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문제가 구체화되지 않으며, 상담자가 내담자를 깊이 공감할 수 없고, 변화를 위한 치료적인 개입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치유는 지식이나 기술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 자신의 내면에 있습니다.  자기탐색적 질문이란 내담자의 구체적 경험 속에서 모호하게 처리되거나 생략된 사실을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개인의 내면을 잘 관찰하고 그 흐름을 확인하도록 요구하며 객관화하도록 하는 질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영은 상담자에 의해 내담자의 모습을 비춰주는 것인 반면 자기 탐색적 질문은 내담자로 하여금 스스로 자신을 관찰하고 객관화시키는 것입니다. 자.. 2025. 3. 5.
청소년심리상담 _ 구체화 작업과 탐색 1. 구체화 작업내담자는 매 시간 문제를 가지고 옵니다. 초기 상담을 마무리하고 중기로 접어들면 내담자는 자신의 생활 속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을 이야기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내담자의 이야기는 많은 부분이 생략되고 편향되거나 왜곡되어 있으며 부분적입니다. 내담자가 이야기한 내용에서 실제로 일어난 사건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 사건이 구체적인 수준에서 파악이 되어야 합니다. 구체화 작업은 건축으로 치면 기초공사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후에 이뤄질 치료 작업의 초석을 단단하게 다지는 작업입니다. 구체화란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실제로 벌어진 사건의 실체를 구체적인 수준까지 규명하는 작업입니다.   내담자가 하는 이야기는 주관적인 경험이며 실제의 사건은 축약되어 숨어 있기 때문에 내담자의 주관적 경험과 보고하는 사건.. 2025.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