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

청소년심리상담 _ 종결상담 1. 상담종결 상담 종결은 상담 과정을 마무리하는 것입니다. 상담자와 내담자가 설정한 상담 목표가 만족스럽게 달성되었다는 상호동의가 이루어지면 상담은 종결됩니다. 상담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다면 상담사는 내담자와 상담을 끝내는 문제를 미리 상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상담 관계는 어느 한쪽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담자와 내담자 쌍방에 의해 발생되고 유지되는 상호적인 관계입니다. 문제가 해결이 안 된 상태라 하더라도 이 상담이 내담자에게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면 내담자는 언제든지 종결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종결은 회기종결과 상담계약 종결로 구분됩니다. 회기종결은 매 회기 50분에 상담을 마치는 것을 말합니다. 회기 종결을 몇 분 남겨둔 시점에 부가적 정보를 탐색하거나 새로운 주제에 대해 .. 2025. 4. 15.
청소년심리상담 _ 해석 1. 해석  상담자는 내담자 대신 살아주거나 판단하고 고칠 수 없습니다. 그저 내담자를 비춰주고 자극하고 지적하며 안내하고 동반할 수 있을 뿐입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스스로의 마음을 들여다보도록 거울 역할을 하고, 내담자는 상담자라는 거울에 비친 마음을 바라보고 자신의 모습을 다듬어 나갑니다. 자기 탐색적 질문이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의 것을 이끌어 내도록 자극하는 개입이고, 공감반응은 상담자가 내담자의 모습을 알아주며 비춰주는 작업이라면 이에 비해 해석은 내담자가 잘 인식하지 못하는 자신의 모습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적하고 연결하고 통합시키도록 돕는 개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상담자는 내담자로부터 전해받은 메시지 하나하나에 대해 매 순간 가능한 치료적 개입과 그에 따른 결과를 충분히 심사숙고해.. 2025. 4. 13.
청소년심리상담 _ 공감 반응 1. 공감이란  공감은 인간관계에서 중요한 부분이고 특히 상담관계에서는 대단히 중요합니다. 누군가로부터 깊이 이해받고 공감을 받게 되면 내담자는 자신이 이 세상에서 더 이상 혼자가 아님을 느끼게 되고, 상처에 새살이 돋아나고, 새로운 삶을 살아갈 힘과 여유를 찾게 됩니다. 공감은 상담자가 무엇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의 내면에서 무엇인가를 이끌어 내는 작업입니다. 공감 반응은 내담자의 마음을 상담자가 읽어 주고 알아주는 것이며, 내담자의 심정을 함께 느끼고 공유하고 거울처럼 비춰주는 개입입니다.   공감이란 비판 없이 상대방의 시각과 입장에서 그 사람의 감정과 경험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공유하는 것을 말합니다. 상대방의 지금 현재 심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알아주고 헤아려주는 것이지만 상대방의 감.. 2025. 4. 11.
청소년심리상담 _ 자기 탐색적 질문 1. 자기 탐색적 질문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과 시각, 생각과 판단 등 내면의 모습을 끌어내어 표현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자극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문제가 구체화되지 않으며, 상담자가 내담자를 깊이 공감할 수 없고, 변화를 위한 치료적인 개입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치유는 지식이나 기술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 자신의 내면에 있습니다.  자기탐색적 질문이란 내담자의 구체적 경험 속에서 모호하게 처리되거나 생략된 사실을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개인의 내면을 잘 관찰하고 그 흐름을 확인하도록 요구하며 객관화하도록 하는 질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영은 상담자에 의해 내담자의 모습을 비춰주는 것인 반면 자기 탐색적 질문은 내담자로 하여금 스스로 자신을 관찰하고 객관화시키는 것입니다. 자.. 2025. 3. 5.
청소년심리상담 _ 구체화 작업과 탐색 1. 구체화 작업내담자는 매 시간 문제를 가지고 옵니다. 초기 상담을 마무리하고 중기로 접어들면 내담자는 자신의 생활 속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을 이야기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내담자의 이야기는 많은 부분이 생략되고 편향되거나 왜곡되어 있으며 부분적입니다. 내담자가 이야기한 내용에서 실제로 일어난 사건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 사건이 구체적인 수준에서 파악이 되어야 합니다. 구체화 작업은 건축으로 치면 기초공사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후에 이뤄질 치료 작업의 초석을 단단하게 다지는 작업입니다. 구체화란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실제로 벌어진 사건의 실체를 구체적인 수준까지 규명하는 작업입니다.   내담자가 하는 이야기는 주관적인 경험이며 실제의 사건은 축약되어 숨어 있기 때문에 내담자의 주관적 경험과 보고하는 사건.. 2025. 3. 4.
청소년심리상담 _ 대화를 풀어가기 1. 이야기 풀어가기  상담시간은 내담자의 시간이므로 상담자는 내담자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개입을 해야 합니다. 상담자는 자신의 욕구와 감정 그리고 습관적인 반응 방식을 자제하고, 내담자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내담자를 드러내면서 내담자의 목표 달성을 위한 개입을 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중기상담부터는 대화의 주제를 정하고 대화를 이끌어나가는 주체는 내담자이며, 상담자는 내담자가 대화의 주도권을 가지도록 구조화할 뿐만 아니라 행동으로도 보여주어야 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편안하게 충분하게, 그리고 온전하게 할 수 있도록 심적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다 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이야기가 끝났는지 확인하고, 그 메세지의 핵심을 요약하고 반.. 2025. 3. 3.